한글 요약
세계도자기발전사에서 중국도자기의 지위와 역할은 의심할바가 없다. 중국도자기발전사에서 월요청자의 지위와 역할 역시 그러하다. 월요청자는 동한시기부터 제작하여 남송초기에 제작을 그만두었다. 1000여년의 긴 시간동안 끊임없는 개척과 혁신을 거쳐, 오늘의 절강 상우조아강(上虞曹娥江) 중류, 츠시상림호(慈溪上林湖), 닝보동전호(宁波东钱湖)등 주요생산지와 주변에 여러개의 청자가마장을 망라한큰 도자기업계를 갖추었다.
역사상의 “유옥”, “유빙”, “천봉취색”으로 불리웠던 월요청자제품들은 장강남북,만리장성안팎을 넘어 아시아, 아프리카 등 해외 각 나라에까지 널리 수출되어 수많은 사랑과 칭찬을 받았었다. 월요청자의 주요생산지의 하나인 동전호가마장은 동한만기에 세워져 육조시기에는 저조기에 들어섰고 수나라에서 당나라초기에는 잠시 정지되었다가 당나라중.말기에 와서 다시 회복되었으며, 오대시기에 발전, 북송조중기(早中期)에는 번성했다. 북송만기에 쇠퇴하기 시작하여 남송초기에는제작을 그만두는 등 여러 발전단계를 겪었다.가마장의 분포범위는 오늘의 닝보시 동전호 호수 주변 및 인저우구 동오진(鄞州区东吴镇)일대를 중심으로 하여, 인저우구 오향진(鄞州区五乡镇)에서 베이룬구 소항(北仑区小港街道)일대, 봉화구 서우거리(奉化区西坞街道)에서 상전진(尚田镇)일대를 포함하고 있다.
청자제품들은 민간용 도자기와 판매용 도자기를 주로 제작했으며한편 공물용 도자기와 맞춤형 도자기도 겸하여 제작했다. 이런 특색있고 뛰어난 청자제품들 역시 국내는물론 해외에까지 널리 수출되어 중국도자기발전사에서뿐만 아니라 월요청자발전사와 “해상 실크로드”발전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 왔으며 지금에 와서도 매우 큰 영향을 가져다 주고 있다.
본 책에서는 고고학발견을 중심으로, 역사 문헌을 참고로 하여 “월요청자 명성이 자자함”, “동전호 주변에 가마장 있어”, “월요청자기 산속에 깊이 감춰져”, “뛰어나고 정교한 청자기 감상하기 좋아”, “세계각국으로 수출되어”, “세세대대 널리 알려져” 등 6 개의 장으로 나뉘었다.
본 글에서는 훌륭하면서도 대중적이고, 풍부하고 다채로운 글과 그림으로 동전호가마장을 체계적으로 소개를 했다. 저자의 목표는 특별연구에 관한 것이기도 하지만 문화를 보급하자는 바램도 갖고 있다. 더욱이 이번 기회를 빌어 향후 동전호청자기문화의 고고학 조사와 연구,보호와 전시, 계승과 창의성을 추진했으면 하는 바램도 적었다.